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거래소, 코리아 밸류업 지수 발표 / PBR, ROE란?

by ola001003a 2024. 9. 25.
반응형

오늘 9.24일 16시, 한국거래소에서 보도자료를 통해 코리아 밸류업 지수(Korea Value-up Index)를 발표했습니다. 해당 보도자료와 이에 대한 기사를 읽어보았습니다.

 

관련기사: 시장 예상깬 밸류업지수 나왔다... PBR 10배 포스코DX도 포함(출처: 매일경제, 2024.9.24)

 

우선 한국거래소는 정부의 「기업 밸류업 지원방안('24.2.26)」의 일환으로 ‘기업 가치 우수기업에 대한 시장평가 및 투자유도’를 위하여 코리아 밸류업 지수를 개발하였다고 합니다. 기준시점은 '24.1.2일이고 기준지수는 1,000p입니다.

올해 11월 중에 코리아 밸류업 지수를 활용한 지수선물 및 ETF를 상장할 예정이라고 하는데요. 이 지수에 포함된 종목을 선정한 방식은 아래의 5단계를 거쳐 평가했다고 하니 함께 살펴보시죠.

출처: 한국거래소 보도자료

 

검정 동그라미 4번엔 PBR, 5번에는 ROE라고 적힌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주식하는 분들은 흔히 들어보셨을 단어지만 오늘 한번 더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PBR(주가순자산비율) 뜻은?

주가순자산비율 PBR은 Price to Bool-value Ratio로, 북은 장부를 뜻합니다. Price(가격) 즉, 주가를 Book(장부)상 순자산 가치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PBR이 1이라면 장부가격(순자산가치)과 주가가 같다는 뜻이에요.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주가순자산비율(PBR) = 주가 / 주당순자산가치(BPS) = 시가총액 / 순자산

 

ROE(자기자본이익률) 이란?

ROE(자기자본이익률)이란 기업이 자기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로 당기순이익을 자본으로 나누어 구합니다.(아래 참조) 여기서 자기자본은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ROE가 10%인 기업은 10억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러면 실제 기업들의 지표가 궁금해지네요. 그래서 찾아봤습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업 삼성전자는 작년 기준 4.15로 조금 저조하네요. 올해 예상은 9.93이라고 합니다. 미국도 살펴볼까요? 코카콜라의 최근 ROE는 42.82이고 애플은.... 171.95네요!! (3사 모두 23년 기준)

자기자본이익률(ROE) = 당기순이익 / 평균 자기자본 × 100 (%)

 

코리아 밸류업 지수에 선정된 100종목은?

이번에 발표된 지수는 금융 자동차 업종에 집중될 것이란 시장의 예상과는 달리, 산업별로 고루 분포된 구성이라는 반응입니다. 그중 정보기술(IT) 분야가 24종목으로 가장 많았고 20종목인 산업재가 다음 순위로 많았습니다.

시장분포로 보자면 유가증권(코스피)과 코스닥 비율이 7:3입니다. 코리아 밸류업 지수에 포함된 100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출처: 한국거래소 보도자료
출처: 한국거래소 보도자료
출처: 한국거래소 보도자료

 

한국거래소의 보도자료를 직접 보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아래에 URL 주소를 공유드립니다.

 

한국거래소 보도자료 URL : http://open.krx.co.kr/contents/OPN/05/05000000/OPN05000000.jsp#fe3647848b826aa1ddee224c4b5526f4=1&view=2024092401

 

Market | 보도자료

 

open.krx.co.kr

 

오늘은 한국 주식시장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에서 추진하는 '코리아 밸류업 지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요즘 미국주식을 하는 분들이 많은데 이 지수 덕분에 우리나라 투자가 활발해질지는 지켜봐야겠어요.

수정할 사항이나 의견 있으신 분들은 댓글 남겨주시고요. 내일도 흥미로운 기사로 경제를 공부해 보겠습니다. 그럼 편안한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